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3911
- 비침윤성방광암
- 심근경색
- 재해사망
- 난소경계성종양
- 암진단비
- 방광암
- 압박골절
- 유암종
- 대장점막내암
- C20
- D39
- D01
- 상해후유장해
- 신경내분비종양
- 고지의무
- 척추압박골절
- 대장상피내암
- C67
- 사망진단서
- 사망보험금
- D09
- 질병사망
- 자살
- 상해사망
- 요추압박골절
- 후유장해
- 재해사망보험금
- 직장유암종
- 경계성종양
- Today
- Total
숨은 보험금 찾아내기!
난소경계성종양 암진단비 20% 지급 정당한가? D39.1 본문
boderline ovarian tumor( 경계성난소암의 형태)
경계성 난소종양은 장액성(serous), 점액성(mucinous), 혼합성(mixed)등으로 아형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저악성도의 종양이라고는 하지만, 대부분 양성결과를 보이며 좋은 예후를 나타낸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다만, 5~10%에서는 원격전이나 재발이 일아나며, 골반내장기로 전이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장액성 난소낭종과 점액성 난소낭종
대부분의 경계성종양에 해당하는 장액성과 점액성은 최신 병리학진단에 의하면 경계성종양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서는 D39 / D39.1으로 질병분류코드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보험약관에서 악성신생물은 C코드? 그러면 D코드는?
악성신생물분류표에 일부 혈액암을 제외한 악성종양은 다 C코드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분류표에 해당할 때에 암진단비 전액(100%)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D37이상의 코드는 경계성종양(행동양식 불명의 신생물)으로 분류되며, 이에 해당할 경우 보험금의 20%정도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경계성종양은 20%만 지급받아야 하는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왜나하면, 상품의 가입내용과 그 구성, 의사마다 견해가 다른 진단, 환자의 전이가능성 및 예후, 환자의 치료상태, 질병분류코드의 지침 등에 따라 일부 비록 경계성종양이라하더라도 악성종양에 준하는 보험금 전액을 지급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진단서 난소의경계성종양 D39 / D39.1 등의 코드는 지금 검토받으세요!
보험금 청구권의 소멸시효는 현재 3년 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안에 주장하지 않으면 권리가 소멸될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검사지,진단서,의무기록의 분석을 시행하고 이에 대한약관의 적용 관련법률의 해석을 통하여 일부 구제가 가능한 경우 필히 보험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질병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 상피내암 코드명 D01 분류가 암진단비 대상이 되는가? (0) | 2017.02.24 |
---|---|
대장점막내암 D01 질병분류시 암진단비 해당검토7 (0) | 2017.02.24 |
D39 난소 경계형의 점액성 낭선종 경계성 종양 D39.1 암진단비! (0) | 2017.02.22 |
급성 심근경색 사망진단서 의증(추정)진단시 보험금 분쟁 심각단계!# I21 (0) | 2017.02.20 |
방광암 비침윤성 C67 진단코드 암진단 적정성 여부! (0) | 2017.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