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압박골절
- 상해후유장해
- D01
- 척추압박골절
- 난소경계성종양
- 사망진단서
- 상해사망
- 대장상피내암
- 사망보험금
- 심근경색
- 직장유암종
- C67
- 방광암
- 자살
- 비침윤성방광암
- 요추압박골절
- 재해사망
- 암진단비
- 재해사망보험금
- 대장점막내암
- D39
- C20
- 고지의무
- 질병사망
- D3911
- 경계성종양
- 신경내분비종양
- D09
- 유암종
- 후유장해
- Today
- Total
목록D01 (7)
숨은 보험금 찾아내기!
대장점막내암이라함은 대장 점막고유층에 국한된 암종을 일컫는 말이며, 대장상피내암이랑은 조직학적 구조가 다릅니다. 다만, 그 위험성 및 치료의 예후가 대장상피내암과 유사하여 대장상피내암으로 진단하는 것이 현 의료계의 현실 입니다. 따라서, 대장점막내암은 현 의학진단체계상 TIS(상피내암)으로 분류하고 질병분류코드는 D01로 진단서를 발급하게 됩니다. 현재 판매되는 대부분의 상품은 대장점막내암을 소액암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암진단비의 20%정도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장점막내암을 별도의 소액암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 과거 약관에서는 대장점막내암이 일반암 진단비 지급대상이 되는지에 대하여 보험사와의 다툼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단서상 C18~C20의 악성신생물 코드가 아닌 D01코드가 부여되었..
우리가 흔히 부르는 암을 악성신생물이라고 표현합니다. 그 중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암종을 제자리암종 또는 상피내암이라고 불리우고 있습니다. 대장은 결장, 직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기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대장암이라고 불리 웁니다. 그 중 점막에 국한되어 있고 점막층을 벗어나지 못한 암종을 대장점막내암이라고 표현하며, 현재 의학계에서는 이 대장점막내암을 D01분류코드를 부여하는 것이일반적인 내과의사의 입장입니다. 그런데 보험에서의 D01분류코드는 상피내암에 해당하는 것으로서,약관해석상으로 보면 상피내암에 준하는 보험금만을지급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조직검사지의 결과 악성으로 변화(CARCINOMATOUS CHANGE)하는 소견이 보이거나, 또는 SUPICIOUS, SUGGESTIVE 등..
대장내시경 하다가 대장용종 발견... 대장 내시경은 위장 내시경에 비해 장안에 있는 내용물을 깨끗하게 배출 후 검사를 해야 그 진단적 의미가 높을 것입니다. 다만, 그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변 배출 약물을 마시고 배출해야하는 고통 및 기력의 허함을 극복을 해야하는 난관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ㅜㅜ 대장용종의 조직검사 대장용종의 대부분은 양성종양으로서 간단한 용종절제술로써 치료가 종결되고 추적관찰만 시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하지만, 일부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이 같이 분포하는 경우 내지 상피내암으로 진단 받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조직검사 결과에 따른 질병분류코드 양성종양으로 진단하게 되면 D12코드를 받게 되고, 상피내암으로 진단하게 되면 D01코드를 부여 받게 되고 악성종양인 경우는 부위에 따라 C1..
제자리신생물 분류표 약관에서 규정하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의하여 구강, 식도 및 위의 제자리암종 D00~ 기타 및 상세불명 부위의 제자리암종 D09 까지의 분류코드를 제자리신생물 즉, 상피내암으로 분류하고 있다. 제자리신생물이란 말그대로 제자리에만 머물러 있고 전이가능성이 적은 상태의 신생물을 말합니다. 치료의 예후가 좋기 때문에 이 분류표에 해당하면 보험금을 감액지급하고 있습니다. TNM병기 분류에 따른 상피내암 상피내암을 의학용어로 Carcinoma in situ로 표현하고 있으면, tnm 분류에 의하면 tis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간혹 조직검사지의 결과에 tis 문구가 표시가 된다면 이는 상피내암으로 보고 있는 것 입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의사는 최종적으로 진단서에 진단병명과 해당 질병분류코드..
습식관의 변화로 내시경검사 상 대장용종 증가! 육류,인스턴트 등의 식품의 과다섭취로 인하여 대장용종이나 대장질환의 증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제 대장용종은 누구에게나 발견되는 흔한 질환으로도 인식하고 있을 정도 입니다. 용종은 내시경으로 발견되면 바로 절제술을 시행하여 종양을 제거하고, 조직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대장양성종양? 경계성종양? 상피내암? 악성종양? 이러한 조직검사를 통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내리게 되는데, 단순 혹정도로 인식되는 양성종양이 있는가 반면에 전이의 위험성,침범의 정도에 따라 상피내암 , 악성종양등으로 진행이 되기 시작 합니다. 그중 대장점막내암 암세포가 존재하는 종양으로 점막고유층에 국한된 암종을 말하며, 현대 의학에서는 이를 상피내암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한국표준..
악성종양? 암? 상피내암? 암종 ? 도대체 머징? 약관에서의 정식 명칭은 경계성종양, 제자리암종, 양성종양, 악성종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암은 통상적으로 악성종양을 의미한다. 그런데, 전이가능성 및 예후가 좋은 상피내암(0기)을 별도로 구분하여 보험금의 일부만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대장점막내암은 상피내암이 아닌거 같은데.... 점막내암은 상피층을 벗어나, 점막고유층을 침범한 암을 말한다. 그런데 의학적으로는 상피내암과 동일시 하고있다. TNM병기분류법에 의하면 점막내암은 TIS 즉 상피내암과 같은 것으로 분류되고 있다. 진단서의 상피내암으로 분류 D01코드 발행 현재 의사의 대부분은 대장점막내암을 D01코드로 분류하여 진단서를 발행하고 있다. 그것은 의사 입장에서는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제자리암은 상피내암이라고도 불리웁니다. 제자리암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일반 악성신생물과는 좀 더 좋은 예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악성신생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경과관찰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예방적 적출술 또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험에서는 제자리암의 경우 소액암으로만 받아야 하는 것일 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대장점막내암, 대장상피내암의 경우 조직학적해석, 이에대한 약관의 기준에 따라 일부 암진단비를 전액 청구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과거 대장점막내암 또는 대장상피내암 D01 진단받은 경우라 하더라도 필히 보험전문가와 상담하여 암진단비 전액 청구가능한지 검토 후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습니다.